리박스쿨 댓글 논란: 실습인가 정치 공작인가?

리박스쿨은 민간 자격증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댓글 실습"이라는 명목으로 정치 여론조작에 수강생을 동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수강생들은 ‘자손군(자유손가락 군대)’이라는 이름으로 편성돼 유튜브 및 포털 기사에 정치적 댓글을 작성해야 했고, 이 활동은 자격증 수료 조건과 직결됐습니다.

자격증 실습이라는 이름의 댓글 동원

리박스쿨은 ‘창의체험활동지도사’ 등의 자격증 과정에서 댓글 작성을 실습으로 포함시켰습니다. 수강생은 하루 3건 이상의 댓글을 작성해야 했고, 이 실적은 구글 시트로 관리됐습니다. 조장이 성과를 취합해 실습 이행 여부를 감독했고, 실적 미달 시 수료가 거부되며 환불도 불가능한 구조였습니다. 이는 명백히 실습을 빙자한 강제 동원으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정치적 편향이 뚜렷한 댓글 내용

작성된 댓글은 대부분 보수 성향 정치인 지지, 반차별법 반대, 정부 비판 등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었습니다. 리박스쿨은 이를 ‘사회참여 실습’이라 설명했지만, 이는 정치적 목적을 은폐한 교육 가장 행위로 간주되며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고령층 교육에서도 반복된 실습 구조

리박스쿨은 고령층 대상 스마트폰 교육에서도 유사한 실습을 실시했습니다. 유튜브 구독, 좋아요, 정치성 댓글 작성 등이 교육 과정에 포함되었으며, 수강생 상당수는 그 의도를 인지하지 못한 채 실습에 참여했습니다. 이는 정보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선동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졌습니다.

공교육 콘텐츠 활용 논란과 교육부의 조치

리박스쿨 콘텐츠가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인 ‘늘봄학교’에서 사용된 정황이 확인되면서 교육부는 손효숙 대표를 교육정책자문위원직에서 해촉했습니다.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콘텐츠 사용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도 착수된 상황입니다. 교육이 정치적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심각한 사례입니다.

경찰 수사 및 사회적 파장

현재 경찰은 리박스쿨의 댓글 실습이 정보통신망법 및 공직선거법 위반에 해당하는지를 조사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와 수강생 진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교육과 정치, 정보조작의 경계를 허문 위험한 전례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관련 기사 보기

자주 묻는 질문

Q1. 리박스쿨 댓글 실습은 강제였나요?
A1. 네. 실습 미이행 시 자격증 수료가 불가능하고 환불도 되지 않는 구조로 사실상 강제성이 있었습니다.

Q2. 작성된 댓글은 모두 정치적인 내용이었나요?
A2. 대부분 정치 성향이 뚜렷한 내용으로, 특정 정치인 지지 및 정책 반대 의견이 반복적으로 포함되었습니다.

Q3. 리박스쿨 콘텐츠는 초등학교에서도 사용되었나요?
A3. 네. 일부 ‘늘봄학교’ 방과후 수업에서 리박스쿨 콘텐츠가 사용된 정황이 포착되어, 교육부가 전국적 전수조사를 시행 중입니다.

다음 이전